교육목표
인문사회과학의 눈으로 과학기술을 고찰 : 과학기술에 대한 역사, 철학, 사회과학적 접근을 통해 인간과 과학에 대한 깊은 통찰을 추구합니다.
과거를 통한 미래 전망 : 과학기술의 변화상에 대한 진단을 통해 발전 방향을 전망하고 대안을 제시합니다.
책임있는 과학기술 추구 : 갈수록 증대되는 과학기술의 중요성과 사회적 함의를 진단하고 사회와 시대의 요구에 부합하는 과학기술의 모습을 제시합니다.
포스텍 인재에 특화된 교육 : 과학기술의 기본 역량을 갖춘 포스텍 인재에 걸맞는 소수정예의 특화된 교육을 제공합니다.
교수진
세부분야
데이터사이언스
진로

관련 분야 석박사를 취득하고
향후 학계 등에 진출

과학기술정책연구원(STEPI),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KISTEP) 등의정부 연구소, 국제기구, 정당, 민간연구소, 시민단체의 과학정책 연구원

과학관, 역사박물관, 특별전시관 등의 기획, 홍보담당 전문인력

과학잡지, 일간지 과학전문기자,
전업 과학기술 관련 작가
교과과정
부전공명 | 학수번호 | 교과목명 | 강의-실험 (실습)-학점 |
비고 |
---|---|---|---|---|
과학 기술학 | CMST301 CMST302 CMST303 CMST304 CMST305 CMST306 CMCC303 |
논리와 비판적 사고 과학사 과학철학 과학기술학 과학사회학 현대사회와 과학 포스트휴먼과 트랜스휴머니즘 |
3-0-3 3-0-3 3-0-3 3-0-3 3-0-3 3-0-3 3-0-3 |
과학기술학 융합부전공 기본과목임. 3개 과목(9학점)은 교양선택으로도 인정 |
CMST401 CMST402 CMST403 CMST404 CMST405 CMST406 CMST408 CMST499 CMCC401 CMCC408 CMCC409 CMCC412 |
과학기술정책 과학커뮤니케이션 한국과학기술사 동아시아과학기술사 과학과 예술 시공간과 물질의 철학 몸과 기술 과학기술학특강 포스트휴먼과 Science Fiction 예술.과학.테크놀로지 진화와 인간사회 위험사회와 커뮤니케이션 |
3-0-3 3-0-3 3-0-3 3-0-3 3-0-3 3-0-3 3-0-3 3-0-3 3-0-3 3-0-3 3-0-3 3-0-3 |
과학기술학 융합부전공 심화과목임 | |
PHYS360 | 물리학의 선구자 | 3-0-3 | 물리학과 개설과목 |
* 적색으로 표기된 과목은 융합문명, 과학기술학 공통과목임.
* 학생 1명이 1개의 융합부전공을 이수할 수 있음.
* 융합부전공 기본과목 중 3개 과목(9학점)을 교양선택으로도 인정함.
(단, 융합문명과 과학기술학 융합부전공의 경우, 기본과 심화과목의 구분없이 3개 과목(9학점)을 교양선택으로도 인정함)
– 융합문명 부전공: 기본과목+심화과목 21학점.
– 과학기술학 융합부전공 : 기본과목+심화과목 21학점.
– 경제·금융 융합부전공 : 기본과목 15학점 + 심화과목 6학점.
* 인문사회학부 개설 융합부전공 교과의 이수구분은 교양선택이며, 융합부전공 21학점 충족 후 초과 이수 학점 또한 교양선택으로 인정됨.
* 인문사회학부 융합부전공의 개설시기는 2019-1학기부터이나 그 이전에 해당 교과를 이수한 경우에도 인정함.